WebLogic 10.3.6 패치 이슈 확인 - 2017년04월18일 자

View Comments

Oracle WebLogic Server - Version 10.3.6 에서 최신 패치

2017년 04월 18일 자 적용 후 아래와 같은 에러 현상 발생

 

1. After applying patch 20181997 - WLS PATCH SET UPDATE 10.3.6.0.11

Patch 20181997 has been applied

 

패치업데이트 날짜 : 2017/03/22

해당패치 URL

https://support.oracle.com/epmos/faces/PatchDetail?_adf.ctrl-state=tbvvi8amp_4&patchId=25388747&_afrLoop=316101845522991


*해당 패치 에러는 항상나는 점은 아님*

적용 패치 ID : RVBS
----------------------------------------------------------------------------------------------------------
<ServletContext-/Tax> <> <>
#### <> <>  java.lang.AssertionError: Reference Count value set below 0, value is-1.
java.lang.AssertionError: Reference Count value set below 0, value is-1
  at weblogic.servlet.internal.session.ReplicatedSessionContext.sync(ReplicatedSessionContext.java:88)
  at weblogic.servlet.internal.ServletRequestImpl$SessionHelper.syncSession(ServletRequestImpl.java:2981)
  at weblogic.servlet.internal.ServletRequestImpl$SessionHelper.syncSessions(ServletRequestImpl.java:2959)
  at weblogic.servlet.internal.ServletRequestImpl$SessionHelper.syncSession(ServletRequestImpl.java:2947)
  at weblogic.servlet.internal.ServletResponseImpl$1.run(ServletResponseImpl.java:1504)
  at weblogic.security.acl.internal.AuthenticatedSubject.doAs(AuthenticatedSubject.java:321)
  at weblogic.security.service.SecurityManager.runAs(SecurityManager.java:120)
  at weblogic.servlet.internal.ServletResponseImpl.send(ServletResponseImpl.java:1498)
  at weblogic.servlet.internal.ServletRequestImpl.run(ServletRequestImpl.java:1499)
  at weblogic.work.ExecuteThread.execute(ExecuteThread.java:263)
  at weblogic.work.ExecuteThread.run(ExecuteThread.java:221)

 

-----------------------------------------------------------------------------------------------------------
해당 에러 관련한 내용은 아래와 같으며, URL 남깁니다.

 

 

참고 URL

https://support.oracle.com/epmos/faces/SearchDocDisplay?_adf.ctrl-state=tbvvi8amp_4&_afrLoop=314574272017476

 

2. 해당 에러 현상이 발생할 경우 아래와 같이 패치 진행 필요

 

패치업데이트 날짜 : 2017/04/16

Patch 18057437: SU PATCH[ZPCJ] : 10.3.6.0.170418WLSPSU Overaly
적용패치 ID : ZPCJ

해당화면의 하단의 관련 패치 중

2031641.1  After Applying Patch 20181997 Application Fails With java.lang.AssertionError: Reference Count value set below 0, value is-1

 

부분이 위의 현상에 대한 패치를 나타냅니다.

 

참고 URL 은 아래와 같습니다.

 

https://support.oracle.com/epmos/faces/PatchDetail?_adf.ctrl-state=tbvvi8amp_4&patchId=18057437&_afrLoop=315609907691482

 

이상입니다.

Comments (+add yours?)

Tracbacks (+view to the desc.)

Cross-Domain 해결 방안

View Comments

사이트의 구성에서 서로 다른 2개의 Domain을 사용하여 AJAX 통신등이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해 W3C에서 CORS( Cross-origin resource sharing )를 발표하였다.

CORS( Cross-origin resource sharing )은 XMLHttpRequest를 사용한 AJAX 호출을 Cross-Domain으로 가능하게 해준다. 

( Cross-Domain이 가능하다는 것은  [ www.A.com ]의 웹페이지에서 [ www.B.com ]의 resource를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는 것이다. )


WebServer에 설정해 주면 되며 OHS의 경우 아래와 같이 설정 한다.


httpd.conf : <Directory>, <Location>, <Files>, <VirtualHost>안에 설정

Header set Access-Control-Allow-Origin "*"


설정 확인은 

브라우저의 개발 도구를 이용하여 Header에 위의 설정이 있는 지 확인한다.

Comments (+add yours?)

Tracbacks (+view to the desc.)

[IPLANET] iplanet access 로그에 referer 남기는 방법

View Comments


===========================================

iplanet의 access 로그에 referer 내용 나오게 설정하는 방법


[테스트 환경]

제품  

 버전

 iplanet 

 7.0.15

 WebLogic 

 10.3.6


===========================================


1.  iplanet 콘솔창에 로그인 한 후 구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2. 생성된 인스턴스 목록 중, referer 설정을 걸어줄 인스턴스 이름을 클릭합니다.



3. 선택된 인스턴스의 가상서버 목록 중, referer 설정을 걸어줄 가상서버를 클릭합니다.


4. '서버 설정' 탭의 '로그 기본 설정' 탭을 클릭합니다.



5. 화면 밑쪽으로 이동하면, '엑세스 로그' 메뉴와 '새로 만들기' 버튼이 있습니다. '새로 만들기' 버튼을 눌러줍니다.



6. access 로그 설정을 위한 새로운 팝업창 하나가 뜹니다. '파일 위치' 메뉴에 access 로그가 기록될 경로와 access 로그 파일명을 적어줍니다(꼭 access 로그 파일명까지 적어줘야 합니다).  또한 '로그 형식' 메뉴에 '다음 세부 정보만 기록합니다' 버튼을 클릭해서 '참조자 (referer)' 를 선택합니다. 모두 설정을 해주었으면 확인 버튼을 눌러 변경된 내용을 저장합니다. 




7. 확인 버튼을 누르면 변경된 내용을 적용하기 위해 콘솔창 화면의 오른쪽 위에 '보류 중인 배포' 라는 알림 창이 하나 발생합니다.



8. '보류 중인 배포' 버튼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팝업창이 하나 발생합니다. 변경된 설정 내용의 적용을 위해 '배포' 버튼을 클릭합니다. 



9. 성공적으로 배포가 성공했다면 '사용 가능한 모든 노드에 구성이 성공적으로 배포되었습니다' 라는 메시지가 발생합니다.



10. 모든 설정을 완료한 후 페이지를 호출하면 (WEB->WAS)  iplanet access 로그에 referer 내용이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1) 호출 페이지




2) iplanet access 로그 메시지











Comments (+add yours?)

Tracbacks (+view to the desc.)

[WebLogic 11g] access.log 에서 app 수행 시간 출력하기

View Comments

--------------------------------------------------------------------------------------------------------------------


웹로직 access.log 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수행 시간도 함께 찍기 위한 방법입니다.


기본적으로 아무런 설정을 하지 않을 경우 아래와 같은 모습으로 log를 출력합니다.



날짜 / 시간 / 호출 메소드 방식 / URI 주소 / Query String Status 순 입니다.


--------------------------------------------------------------------------------------------------------------------



< 설 정 방 법 >



어드민 콘솔 > 좌측 메뉴에서 서버 선택 > 해당 서버 클릭 후 로깅 > Advanced 클릭 합니다.


1. Format을 Extended로 변경합니다. (Default는 Common)


2. Extended Logging Format Fields에 time-taken을 추가해 줍니다.



--------------------------------------------------------------------------------------------------------------------


(+) 해당 로그 설정이 나타내는 정보는 아래와 같습니다.



https://docs.oracle.com/cd/E40518_01/server.761/es_admin/src/tadm_logging_access_log.html



date - 트랜잭션이 끝난 날짜


time - 트랜잭션이 끝난 시간


time-taken - 트랜잭션이 끝나는데 걸린 시간 (초)


cs-method - 요청 메소드


cs-uri - 요청된 전체 URI 주소


sc-status - 응답 상태값 (예) 404



(+) Default로 지정되어 있는 설정은 date time cs-method cs-uri sc-status 입니다.


--------------------------------------------------------------------------------------------------------------------


< 확 인 >


설정 저장 후 WAS를 재기동 하고 다시 access.log 를 확인하면 수행 시간도 함께 출력합니다. (노란색 박스)




이를 통해 요청이 오래 걸리는 페이지를 알 수 있습니다.



Comments (+add yours?)

Tracbacks (+view to the desc.)

[OHS] HTTP입력 값을 자동으로 HTTPS로 변환하여 호출하는 방법 (Redirection)

View Comments



클라이언트가 HTTP 주소, 포트를 입력할 경우 이를 자동으로 HTTPS 로 변환하여 호출하는 방법입니다.


[ 테스트 환경 ]


제품

버전 

 WebLogic

11g (10.3.6) 

OHS

11.1.1.7.0



[ 참고 자료 ]


오라클 문서번호 603796.1

https://support.oracle.com/epmos/faces/DocumentDisplay_afrLoop=338427523756177&id=603796.1&_adf.ctrl-state=3mhxdk0bs_77

OHS 문서

https://docs.oracle.com/cd/B14099_19/web.1012/b14009/confmods.htm#BABHCAJB

아파치 웹 서버 2.0 가이드 라인 

https://httpd.apache.org/docs/2.0/ko/misc/rewriteguide.html

아파치 웹 서버 2.2 가이드 라인 

https://httpd.apache.org/docs/current/rewrite/flags.html





[ Case 1 ] HTTP 포트로 접속하고자 하는 모든 요청을 HTTPS 로 변경하고자 할 때


OHS 서버 내 httpd.conf 파일에 아래 사항을 추가합니다.


1
2
3
RewriteEngine On
RewriteRule ^/(.*)$ https://ListenAddress:https포트번호/$1 [R,L]






< 확 인 >


서버를 재기동합니다.

주소창에 HTTP 주소를 입력하게 되면,



호출 시에는 HTTPS로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Case 2 ] HTTP 포트로 접속하는 특정 Root만 HTTPS 변경하고, 나머지는 그대로 HTTP로 연결할 때 


마찬가지로 httpd.conf 파일 내에 아래 사항을 추가합니다.

예시에서는 Change 폴더 내에 있는 모든 페이지에 접근할 경우, http 연결을 https 로 변경하고자 합니다.


1
2
RewriteEngine On
RewriteRule ^/폴더명(.*)$ https://ListenAddress:HTTPS포트번호/change$1 [R,L]







서버를 재기동 합니다.

현재 예제 서버에 deploy 되어 있는 두 개의 Application 내 Context Root 는 각각 change, check 입니다.




1) http~check 로 접속했을 때 (HTTP로 연결되어야 함)





2) http~change 로 접속했을 때 (HTTPS로 연결되어야 함)













Comments (+add yours?)

Tracbacks (+view to the desc.)

Newer Entries Older Entries